전동칫솔, 핸드폰 등의 기기를 넘어 전기차, 전기자전거 등 무선 충전, 전력전송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미래에는 충전대에 올리지 않고도 늘 100% 충전된 핸드폰을 사용하게 되는 날도 오지 않을까하는 호기심으로 무선전력전송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 개요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은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이는 전자기 유도, 자기 공진, 마이크로파 빔 전송 등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무선 충전 기술은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 의료기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장거리 무선 전력 전송 기술도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우주 태양광 발전(SBSP)과 같은 대규모 전력 전송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 무선 전력 전송 방식
(1) 전자기 유도 방식 (Inductive Charging, Qi 표준)
- 코일 간 자기장 이용: 충전 패드(송신 코일)와 기기(수신 코일)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전력을 전달함.
- 근거리 충전: 코일 간 거리가 가까워야 하며, 정확한 정렬이 필요함.
- 대표 기술: Qi(치) 표준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 전동칫솔 등.
(2) 자기 공진 방식 (Resonant Charging)
- 공진 주파수 활용: 송신기와 수신기의 코일이 같은 주파수로 공진하여 에너지를 전달함.
- 장거리 충전 가능: 몇 cm~수십 cm 거리에서도 충전 가능하며 여러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도 있음.
- 대표 기술: 전기차 무선 충전, 일부 고급형 무선 충전 패드.
(3) 마이크로파 빔 전송 방식 (Microwave Power Transmission, MPT)
- 마이크로파 활용: 전력을 마이크로파(극초단파) 형태로 변환하여 공중으로 전송한 후, 수신 안테나(레크테나, Rectenna)를 이용해 다시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술
- 공중 전송: 마이크로파는 공기 중에서 큰 손실 없이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음
- 대표 기술: 우주 태양광 발전(SBSP, Space-Based Solar Power), 드론 및 위성 무선 충전, 군사 장비 등
◆ 무선 충전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편리성: 케이블 없이 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충전됨.
✔ 단자 마모 방지: 충전 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내구성이 증가.
✔ 방수 설계 용이: 포트가 없어 방수·방진 설계가 쉬움.
❌ 단점
✖ 충전 속도: 유선 충전보다 느림(고속 무선 충전 기술이 나오고 있지만 유선보다 효율이 낮음).
✖ 발열 문제: 충전 중 열이 발생할 수 있어 과열 방지가 필요함.
✖ 위치 정렬 필요: 코일이 정확히 맞춰지지 않으면 충전이 비효율적일 수 있음.
◆ 무선 전력 전송의 응용 분야
✅ 소형 전자기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등
✅ 전기차 무선 충전: 도로 내장형 충전 시스템, 주차장 무선 충전 시스템
✅ 의료기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심박 조율기 등), 무선 센서
✅ 산업 및 군사 분야: 로봇 자동화, 무인 항공기(UAV) 무선 전력 공급
✅ 우주 태양광 발전(SBSP): 우주에서 태양광을 수집한 후 마이크로파로 변환하여 지구로 전송하는 기술
현재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다양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 중이다. 스마트폰 및 전기차 무선 충전 기술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마이크로파 및 레이저를 활용한 장거리 전력 전송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NASA, JAXA, 중국 CNSA 등의 기관에서는 우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실험을 진행 중이며, 향후 몇십 년 내 실용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소설 『삼체』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삼체』 2권인 암흑의 숲에서 무선 전력 전송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기기에 전력공급선이 없는 것은 기본이며 우주 엘리베이터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연결되어 지구의 방어 체계를 구성하는 부분 등이다.
정말 이런 기술이 미래에 현실화 된다면 인체와 주변 기기에 전자파가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인체에 미치는 영향
휴대폰, Wi-Fi 등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는 비전리 방사선(Non-Ionizing Radiation) 이라서 세포를 직접 파괴하지 않는다. 다만, 강한 출력일 경우 물 분자를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이는 전자레인지의 원리와 동일하며, 직접 노출될 경우 화상, 세포 손상, 심부 체온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실에서도 자동 추적 및 빔 조정 시스템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른 전자기기와의 간섭
마이크로파 빔 전송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공기 통신 시스템, GPS, Wi-Fi, 군사 레이더 등과 신호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강력한 마이크로파 빔이 지나갈 경우 전자기기 회로에 영향을 미쳐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극단적인 경우 전자기 펄스(EMP) 효과로 인해 전자 장비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를 피해서 설계하거나 빔 포커싱 기술을 활용해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나 지구 기반 인프라와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우주 공간에서만 전송하는 방식(SBSP처럼) 을 고려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기기에 필요한 물리적 기기들 (0) | 2025.02.04 |
---|---|
LoRa와 NB-IoT (0) | 2025.02.02 |
V2X(Vehicle-to-Everything) (0) | 2025.02.01 |
Zigbee (0) | 2025.01.30 |
4G(LTE)와 5G (0) | 2025.01.30 |